본문 바로가기
건강

비브리오 패혈증 치사율 50% 고위험군 '빨간불'!

by infotong 2025. 4. 24.

비브리오 패혈증 균 첫 검출 소식이 전해지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지난 14일 서해안 지역 해수에서 비브리오 패혈증균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고위험군의 경우 치사율이 50%에 달해 더욱 심각한 상황입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 올해 첫 검출 소식과 높은 치사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고 예방 수칙을 숙지하여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목차

  1. 비브리오 패혈증 균 올해 첫 검출! 서해안 해수에서 확인된 위험 신호
  2. 치사율 50%에 달하는 비브리오 패혈증, 고위험군은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3. 비브리오 패혈증 예방, 몇 가지 수칙만 지켜도 안전할 수 있습니다!

 

1. 비브리오 패혈증 균 올해 첫 검출! 서해안 해수에서 확인된 위험 신호

비브리오 패혈증균 (출처:질병관리청)

 

올해 처음으로 비브리오 패혈증 균이 서해안 지역 해수에서 검출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보다 1주일이나 빠른 시점으로,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활동 시기가 앞당겨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주로 여름철 해수나 오염된 해산물을 통해 감염되며, 건강한 사람에게는 심각한 증상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지만, 특정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에게는 매우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 비브리오 패혈증 균 검출 관련 주요 내용

  • 검출 시기: 2025년 4월 14일
  • 검출 지역: 서해안 일부 지역 해수
  • 특이 사항: 지난해보다 1주일 빠른 검출
  • 원인 추정: 해수 온도 상승

평소 해산물을 즐겨 드시는 저희 삼촌께서는 최근 뉴스에서 비브리오 패혈증균 올해 첫 검출 소식을 접하고 걱정이 많으셨습니다.

 

특히 간 질환을 앓고 계셔서 더욱 주의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삼촌처럼 해안 지역에 거주하시거나 해산물 섭취가 잦은 분들은 비브리오 패혈증균 올해 첫 검출 소식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2. 치사율 50%에 달하는 비브리오 패혈증, 고위험군은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 (출처:질병관리청)

비브리오 패혈증은 특히 만성 간 질환, 알코올 중독, 당뇨병, 만성 신부전 등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에게 매우 위험합니다.

 

이들은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감염될 경우 패혈성 쇼크, 다발성 장기 부전 등으로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치사율이 무려 50%에 달할 정도로 심각합니다.

 

따라서 고위험군에 해당한다면 해산물 섭취와 해수 접촉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비브리오 패혈증 고위험군

  • 만성 간 질환자 (간염, 간경화, 간암 등)
  • 알코올 중독자
  • 당뇨병 환자
  • 만성 신부전 환자
  • 악성 종양 환자
  • 장기 이식 환자
  • 면역 억제제 복용자

 

 

3. 비브리오 패혈증 예방, 몇 가지 수칙만 지켜도 안전할 수 있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 (출처:질병관리청)

 

비브리오 패혈증은 몇 가지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감염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특히 해산물을 다루거나 섭취할 때, 그리고 해수와 접촉할 때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비브리오 패혈증 예방 수칙

  • 해산물 익혀 먹기: 어패류는 반드시 85℃ 이상으로 가열하여 섭취합니다.
  • 날 것과 익힌 것 분리 보관: 해산물을 손질할 때는 칼, 도마 등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익히지 않은 해산물과 익힌 식품은 분리하여 보관합니다.
  •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기: 어패류는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서 조리합니다.
  • 피부 상처 관리: 피부에 상처가 있다면 바닷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방수 밴드를 착용합니다.
  • 해수 접촉 후 깨끗이 씻기: 바닷물에 접촉했다면 즉시 비누와 물로 깨끗이 씻습니다.
  • 고위험군 생식 피하기: 만성 간 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여름철 어패류 생식을 피해야 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검출 소식은 우려스러운 일이지만,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킨다면 충분히 안전하게 여름을 보낼 수 있을 것 입니다.

 

패혈증균의 증상과 예방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글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